Light Microscopy

 

1. Compound Light Microscopy

일반적인 광학현미경

 

2. Darkfield Microscopy

일반 광학현미경으로는 보이지않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염색되지않는, 혹은 특징이 염색에 의해 완전히 왜곡돼버리는, 살아있는 미생물체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다.

Darkfield microscope는 일반적인 콘덴서 대신에, 불투명한 디스크를 가진 darkfield condensor를 사용한다. 이 디스크가 대물렌즈에 직접 들어오는 빛을 차단한다. 오직 표본으로부터 반사된 빛만이 대물렌즈에 들어갈 수 있다.

직접적인 배경 빛이 없기 때문에, 표본은 어두운 배경에 밝게 나타난다. - darkfield 

이 방법은 용액에 부유하고 있는 염색되지않는 미생물체를 관찰할 때 자주 사용된다.

스피로헤타, 세균의 운동 관찰에 쓰인다.

 

3. Phase-Contrast Microscopy(위상차현미경)

조직배양할 때 이용한다.

Phase-Contrast microscope는 살아있는 미생물체의 내부구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어 특히 유용하다.

게다가, 미생물체를 자칫 왜곡시키거나 죽일 수 도있는 절차(염색, 고정)을 할 필요가 없다.

위상차현미경의 원리는 광선의 파동성, 그리고 광선이 같은 위상에 있거나 혹은 반대위상에 있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만약 한 소스로부터의 광선의 피크지점이 다른 소스로부터의 광선의 피크지점과 일치한다면 광선은 강화된다.(상대적인 밝음) 그러나 만약 두 소스의 위상이 반대로 일치한다면 광선은 간섭을 일으킨다.(상대적인 어둠)

위상차현미경에서 한 광선은 광원으로부터 직접오고, 다른 광선은 표본의 특정 구조로부터 반사되거나 회절된 빛으로 부터 온다. 이 두 광선이 만나면 접안렌즈에 표본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위상이 피크로 같은 지점은 상대적으로 밝고, 점점 어두워지다가 피크와 밸리가 만나는 지점은 상대적으로 어둡다.

위상차현미경을 통해 세포의 내부구조를 보다 분명히 관찰할 수 있다.

 

4. Fluorescence Microscopy(형광현미경)

짧은 파장의 빛(UV)를 흡수하고 긴 파장의 빛(눈으로 볼 수 있는)을 방출하는 형광의 성질을 이용한 현미경이다. 어떤 생물체들은 자외선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형광을 낸다. 만약 관찰해야할 표본이 자연적으로 형광을 내지 않는다면, fluorochrome이란 형광염료로 염색하면 된다. 형광염료로 염색된 미생물이 자외선영역에서 형광현미경으로 관찰되면, 그들은 어두운 배경에 대해 밝은 물체의 발광체로 나타난다.

,